2020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요약)
1. 기본 현황
ㅇ '20년 신혼부부는 118만 4천 쌍으로 전년대비 6.1%(7만 6천 쌍) 감소
ㅇ 혼인 1년차 신혼부부는 전년보다 9.4%(2만 2천 쌍) 감소, 연차가 낮을수록 전체 중 차지 비중이 줄어
드는 추세
2. (초혼부부) 자녀 및 보육
ㅇ 초혼 신혼부부 중 유자녀 비중은 55.5%로 전년(57.5%)대비 2.0%p 하락
ㅇ 외벌이(0.76명)가 맞벌이(0.60명)보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0.76명)가 무주택 부부(0.62명)보다 평균
자녀 수가 많음
ㅇ 만 5세 이하 자녀 보육은 어린이집(48.5%) 비중이 가장 높고, 맞벌이는 어린이집(53.2%), 외벌이는
가정양육(49.0%)이 가장 높음
3. (초혼부부) 경제활동 현황
ㅇ 맞벌이 부부의 비중은 초혼 신혼부부의 52.0%로 전년보다 2.9%p 상승
ㅇ 부부 합산 연간 평균 소득은 5,989만원으로 전년대비 4.9% 증가
ㅇ 금융권 대출잔액을 보유한 부부는 87.5%, 중앙값은 1억 3,258만원
4. (초혼부부) 주거현황
ㅇ 가장 많이 거주하는 거처 유형은 아파트(71.7%)로 전년대비 1.9%p 상승
ㅇ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는 42.1%로 전년(42.9%)보다 0.8%p 하락
5. 7년 이내 신혼부부 현황
ㅇ '20년 7년 이내 신혼부부는 171만 4천 쌍으로 전년대비 5.4% 감소
ㅇ 자녀가 있는 부부는 전체의 67.1%이고, 평균 자녀수는 0.98명
ㅇ 맞벌이 비중은 48.3%, 외벌이 44.4%이며, 주택소유 비중은 48.2%
자세한 사항은 통계청(https://url.kr/c61fy3)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