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계·지표
국민 삶의 질 2022
작성부서 통계개발원
게시일 2023.2.21
조회수 488

<국민 삶의 질 2022 주요 결과>

 

□ 전체 71개 지표 중 ’22년에 업데이트 된 지표는 62개이며, 전기대비 개선지표 47개, 악화지표 14개, 동일지표는 1개임(’22년 12월 말 기준)

 

ㅇ (’22년 수치 반영) 20개 지표 중 개선 16개, 악화 4개로, 고용이나 가족, 건강, 세부 환경영역별 만족도는 개선*된 반면, 독거노인 비율, 선거투표율, 학교생활만족도, 기후변화불안도 등 4개 지표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남

 

* 개선지표(16개) : 고용률, 실업률, 미세먼지농도, 가족관계만족도, 스트레스인지율, 주관적건강상태, 신체활동실천율, 교육비부담도, 학교교육효과, 대기질만족도, 수질만족도, 토양환경만족도, 소음만족도, 녹지환경만족도, 야간보행안전도, 안전에 대한 전반적 인식

 

ㅇ (’21년 수치 반영) 41개 지표 중 전기대비 개선이 31개, 악화가 9개로 개선지표의 비율이 75.6%임
- 사회단체참여율, 비만율, 1인당 여행일수 등은 ’20년 대비 소폭으로 개선됨
- 자살률, 근로시간, 가구부채비율, 문화여가지출률, 자가점유가구비율, 범죄피해율, 아동학대피해, 부정정서 등은 전기대비 악화됨


※ 지표별로 작성주기*와 공표시점**이 상이하여 ’22년에 업데이트된 지표는 전체 71개 지표 중 62개이며, 이 중 ’22년 수치가 반영된 지표는 20개이고, 41개가 ’21년 값임
* 71개 지표의 작성주기: 1년주기(45개), 2년주기(23개), 3년주기 이상(3개)
** 71개 지표의 작성연도(’22년 12월 기준): ’22년(20개), ’21년(48개), ’20~’19년(3개)

 

 

자세한 사항은 통계청(https://url.kr/v4r3y6)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 삶의 질 2022.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