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배경
정부는 현재 및 미래 재직자의 역량을 높여 개인에게는 고용가능성을 높이고, 사회적으로는 인적자본 축적을 가속화하는 대책들을 통해 혁신적 포용국가를 구현할 수 있도록
인재양성 관련 각 부처에서 추진 중이거나 새롭게 추진할 과제 중 중점과제를 선별하여 사람투자 정책과제로 브랜드화하고,
2019년 4월 10일 '사람투자 10대 과제'를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국민의 정책 인지도를 제고하고 인재양성 정책 효과를
확산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의 토대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비전사람투자를 통해 혁신적 포용국가의 미래인재 양성
교육․훈련 기회의 장벽 제거
교육․훈련
기회의 장벽 제거
1 국민내일배움카드
2 스마트교육훈련 플랫폼
3 출발선 평등을 촉진하는 교육
4 고졸 재직자의 대학 교육
「국민내일배움카드」 도입
K-Digital Plus 지원(구직자, K-Digital Credit)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구축
K-Digital Plus 지원(일반국민)
K-Digital Plus 지원(장애인)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운영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
고교 무상교육
교육비 지원(대학입학금 폐지 및 국가 장학금 지원 확대)
초중등 SW교육
융합교육
고교학점제
신산업분야 진로체험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
후진학 선도형 전문대학 육성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확산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
혁신을 선도하는 미래인재 양성
혁신을 선도하는
미래인재 양성
1 유망산업 선도인재
2 주력산업 핵심인재
3 중소기업 스마트 인재
인공지능(AI) 석박사급 고급인재 양성 - 1
인공지능(AI) 석박사급 고급인재 양성 - 2
KIURI 연구단 확대(고급인력)
AI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선정을 통한 연구인력 육성
AI로봇인간기계협업 전문인력양성
SW중심대학 추진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이노베이션 스퀘어 확충 등 실무인력 확대
융합인력 확대 - 1
융합인력 확대 - 2
에너지신산업
바이오헬스 인력양성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과학전문가 양성
바이오융복합기술 전문인력양성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 운영
바이오공정 인력양성(한국형 NIBRT 프로그램)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이공계전문기술연수사업(직무훈련)
특성화 대학원 운영 등 환경 분야 고급인력 양성
환경산업 분야 재직자 및 실무자 양성
환경계열 특성화고 프로그램 운영 등 실무인력 양성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반도체·디스플레이
시스템반도체융합전문인력육성
한국폴리텍대학 반도체융합캠퍼스 운영
자동차·조선
뿌리·소재
기술경영·디자인
BK21 사업 확대·개편
스마트공장 배움터 구축
스마트공장 거점학교 지정
스마트공장 취업맞춤반 운영
국립마이스터고 특화교육
스마트공장분야 계약학과
스마트공장 운영설계 전문인력 양성
로봇·제조 전문인력양성
기계·부품설계 전문인력양성
스마트제조 전문인력양성
드론·가상증강현실 전문인력양성
광융합 전문인력양성
K-Digital Training(미래형 핵심 실무인재 양성훈련)
폴리텍 스마트공장 특화캠퍼스구축 및 러닝팩토리 확대
지역산업맞춤형 인력양성 훈련(스마트공장 인력양성)
멘토링플랫폼 운영지원
혁신분야 창업패키지
산업현장 수요에 대응한 인재 양성
산업현장 수요에
대응한 인재 양성
1 일학습병행제
2 민간주도 직업훈련
3 재직자 신기술 훈련
고교 단계 :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재직자 단계:기업맞춤형 훈련과정
전문대 단계 : 전문대 재학 단계
전문대 단계 : P-TECH
4년제단계 : IPP형 일학습병행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 -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 일반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 -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 전문대
K-Digital Platform(공공․민간의 디지털 융합훈련 플랫폼) 확대
산업계 공동훈련센터 훈련
고숙련·신기술 훈련 우대
K-Digital Plus 지원(재직자)
산단형 공동훈련센터 확대
중소기업훈련 컨설팅
현장 맞춤형 훈련설계·지원